BIG-O

시간 복잡도 (Big-O)
1. 점근적 실행 시간 = 시간 복잡도 점근적 실행 시간은 시간복잡도라 할 수 있고 시간복잡도의 정의는 어떤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설명하는 계산 복잡도를 이야기 한다. 계산 복잡도를 표기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빅-오 이다. 2. 빅오는 점근 표기법(asymptotic notation)의 한 종류 점근 표기법은 어떤 함수의 증가 양상을 다른 함수와의 비교로 표현하는 수론과 해석학의 방법이다.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단순화할 때나 무한급수의 뒷부분을 간소화할 때 쓰인다. 점근 표기법에는 빅-오, 빅-세타, 빅-오메가, 리틀-오, 리틀-오메가 가 있다. 1. 빅-오(big-o) : 상한을 의미 한다. 2. 빅-오메가 : 하한을 의미한다. 3. 빅-세타 : 평균을 의미한다. (출처 : 위키피디아..